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변화의 시대, 리더의 조건

by 지시익킹 2025. 5. 5.

디지털 전환, 인구 구조 변화, 기후 위기, 지정학적 리스크 등으로 대표되는 '복합위기'의 시대. 조직은 단순한 관리 능력을 넘어, 빠르게 변화에 적응하고 구성원의 몰입을 이끄는 리더십을 요구받고 있습니다. 오늘은 국내외 주요 보고서와 학계의 분석, 실제 기업 사례를 바탕으로, 오늘날 리더에게 꼭 필요한 핵심 역량과 실천 전략을 살펴봅니다.

 

 

1. 변화의 시대, 리더십 패러다임은 어떻게 달라졌는가?

하버드 경영대학원 교수인 린다 힐(Linda A. Hill)은 “리더는 더 이상 '명령과 통제'의 주체가 아니라, 복잡한 상황 속에서 구성원이 자율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맥락을 설계'하는 존재”라고 강조합니다 (출처: TEDxCambridge, 2014). 이처럼 현대의 리더십은 지시형(authoritative)에서 참여형(participative)으로 전환되고 있습니다.

 

2. 통계로 보는 ‘리더십 실패’의 주요 원인

맥킨지앤컴퍼니가 2023년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프로젝트 실패의 70%는 기술 문제가 아닌 ‘조직 문화와 리더십의 저항’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PwC의 2022년 글로벌 CEO 설문에 따르면, 응답자의 79%가 '유연하고 공감하는 리더십'을 향후 5년 내 가장 필요한 역량으로 지목했습니다.

 

3. 핵심 역량: 변화형 리더(Transformational Leader)의 요건

미국 심리학자 버너드 배스(Bernard Bass)는 변화형 리더십의 4대 요소로 ① 이상적 영향력, ② 영감적 동기부여, ③ 개별적 배려, ④ 지적 자극을 제시했습니다. 이 모델은 현재까지도 가장 광범위하게 적용되는 리더십 이론 중 하나입니다 (출처: 『Leadership and Performance Beyond Expectations』, 1985).

 

4. 실천 전략: 변화에 강한 리더가 되기 위한 5가지

① 비전을 스토리로 전달하라: 구성원이 쉽게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는 내러티브 설계
② ‘실패’를 허용하라: 빠른 실험과 학습이 가능하도록 심리적 안전감 조성
③ 성찰과 피드백 루프 확보: 정기적으로 자신과 팀의 대응 방식 점검
④ 타인 관점에서 사고하기: 세대·직무·문화 간 시각 차이를 이해하는 훈련
⑤ 변화를 일상화하라: 변화가 비정상이 아닌 ‘새로운 표준’임을 인식하고 일하는 방식 재설계

 

5. 실제 사례: IBM의 ‘리더십 재정의’ 프로젝트

IBM은 2020년부터 전 세계 40여 개국의 리더들을 대상으로 'IBM Leadership Reboot'를 시행했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디지털·하이브리드 근무 환경에 맞춘 리더십 역량을 재정의하고, 공감적 커뮤니케이션, 자기 주도적 학습, 분산된 팀 관리 능력 등을 중심으로 교육 과정을 재설계했습니다. 도입 1년 후, 리더 평가 점수가 평균 17% 상승했다는 성과가 IBM 공식 보고서(2021)를 통해 발표되었습니다.

 

마치며

혼란의 시대에 진짜 리더는 구성원에게 방향을 제시하는 사람보다, 함께 길을 찾는 사람입니다. 불확실성과 변화가 일상이 된 지금, 우리 조직은 어떤 리더십을 갖추고 있습니까? 오늘의 콘텐츠가 스스로를 점검하고, 미래를 설계하는 계기가 되길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