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코칭형 리더의 힘

by 지시익킹 2025. 5. 5.

리더십의 새로운 패러다임은 ‘지시’에서 ‘질문’으로, ‘관리’에서 ‘코칭’으로 전환되고 있습니다. 코칭형 리더는 구성원이 스스로 목표를 세우고, 문제를 해결하고, 성장하도록 지원하는 사람입니다. 오늘은 코칭형 리더십의 개념, 효과, 실제 기업 사례, 그리고 실천 전략을 소개합니다.

 

 

1. 코칭형 리더란 누구인가?

국제코칭연맹(ICF)은 코칭을 “개인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도록 돕는 창의적이고 자극적인 파트너십”이라 정의합니다. 코칭형 리더는 구성원에게 직접 해답을 주기보다 질문을 통해 자율적 사고와 결정을 이끌어내는 리더십 유형입니다. Daniel Goleman은 『Primal Leadership』(2002)에서 코칭 리더십을 ‘감정지능 기반의 리더십’ 중 하나로 분류하며, 특히 구성원의 장기적 성장을 지원하는 데 효과적이라고 설명합니다.

 

2. 왜 지금, 코칭형 리더인가?

Gartner의 2022년 HR 설문조사에 따르면, '자율성과 주도성이 높은 조직일수록 팀 생산성이 23% 향상되며, 그 중심에 코칭형 리더십이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또한 Harvard Business Review는 '관리자 역할에서 코칭 스킬을 강화한 조직이 이직률 감소와 몰입도 향상 효과를 경험했다'고 보고합니다 (2020).

 

3. 전문가 인사이트

마셜 골드스미스(Marshall Goldsmith)는 “리더가 코치를 자처하는 순간, 조직은 더 많은 책임과 에너지를 스스로 만들어낸다”고 강조하며, 코칭은 동기 유발이 아닌 ‘책임과 성장의 문화를 여는 방식’이라고 설명합니다 (출처: 『What Got You Here Won’t Get You There』, 2007).

 

4. 코칭형 리더의 실천 전략

① 오픈형 질문 활용: ‘왜 그 생각을 했나요?’, ‘다른 가능성은 뭐가 있을까요?’ 등 자율 사고 유도
② 경청 기술 강화: 말을 끊지 않기, 감정 읽기, 요약으로 확인하기
③ 목표 설정을 함께 설계: 과제 위임이 아니라 방향 설정에 동참시키기
④ 문제 해결보다 리플렉션: 정답을 제시하기보다 성찰과 대안 모색 유도
⑤ 성과보다 성장 피드백: 결과 중심이 아닌 과정 중심 대화 유지

 

5. 실제 사례: 마이크로소프트의 ‘Manager Expectations’

마이크로소프트는 2019년부터 '관리자의 역할은 코치'라는 철학을 내걸고, ‘Manager Expectations’ 정책을 수립했습니다. 여기에는 '질문으로 시작하라', '해결하지 말고 경청하라', '경로가 아닌 성장을 이끌라'는 원칙이 포함되며, 이 프로그램 도입 이후 관리자 만족도는 86%, 구성원의 자기주도적 학습 참여율은 50% 이상 상승한 것으로 보고됐습니다 (출처: Microsoft Work Trend Index, 2021).

 

마치며

코칭형 리더는 답을 아는 사람이 아니라, 답을 찾도록 도와주는 사람입니다. 그들의 질문은 구성원의 잠재력을 일깨우고, 조직에 ‘자생적 성장의 힘’을 만들어냅니다. 이제는 말하는 리더보다, 묻고 들어주는 리더가 필요한 시대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