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의 목적이 단순한 이윤 창출에서 사회적 가치 창출과 지속 가능성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를 고려한 ESG 경영은 이제 글로벌 스탠더드가 되었고, 투자자, 고객, 인재 모두가 기업의 ESG 역량을 새로운 신뢰 기준으로 보고 있습니다. 오늘은 ESG 경영의 개념과 확산 배경, 각 축의 주요 전략, 국내외 사례를 통해 지속가능한 비즈니스의 방향성을 제시합니다.
1. ESG란 무엇인가?
ESG는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의 약어로, 기업의 지속가능성과 비재무적 가치를 평가하는 기준입니다. UN PRI(책임투자원칙)와 TCFD(기후관련 재무정보공개 협의체) 등 글로벌 지침은 기업의 ESG 정보공개를 사실상 의무화하고 있으며, 2024년부터는 EU CSRD(지속가능성 공시지침)에 따라 5만개 이상의 유럽 및 글로벌 기업이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2. ESG 경영이 비즈니스 전략이 된 이유
① 투자 관점: 블랙록, 노르웨이 국부펀드 등 글로벌 자산운용사들이 ESG 점수를 투자 기준으로 채택
② 고객 관점: MZ세대를 중심으로 윤리적 소비와 브랜드 가치의 연계가 심화
③ 인재 관점: 조직 문화, 다양성, 사회 기여도 등을 중요시하는 인재 선호
④ 규제 관점: 탄소세, 공급망 실사법, ESG 공시 의무 등 제도화 가속
Deloitte는 ESG를 실천하는 기업이 평균 13% 높은 고객 충성도와 8% 이상의 이직률 감소 효과를 거둔다고 분석했습니다 (2022).
3. ESG의 세 가지 축별 주요 경영 전략
① 환경(E): 탄소중립 선언, RE100 참여, 친환경 원재료 사용, 에너지 효율 설비 투자
② 사회(S): 다양성·포용성(D&I) 정책, 공급망 인권 실사, 지역사회 공헌, 산업안전 강화
③ 지배구조(G): 이사회 다양성 확대, 윤리경영 정책 강화, 내부고발 보호제도, 성과 기반 보상체계 개선
4. 국내 기업의 ESG 실천 사례
① SK이노베이션은 Scope 1, 2를 넘어 협력사까지 포함한 Scope 3 배출량 감축 목표를 설정했고, 국내 최초로 '탄소 배출권 중장기 전략'을 발표했습니다.
② LG화학은 생분해 플라스틱과 바이오 기반 플라스틱 소재 기술 개발을 통해 환경 지속 가능성 확보와 함께 수익모델을 연계하고 있습니다.
③ KT는 ‘디지털 포용’을 핵심 사회 가치로 설정하고, 장애인·고령자를 위한 접근성 강화 기술을 개발하며, 전국 17개 지역 ICT 케어센터를 운영 중입니다.
④ 삼성전자는 사외이사 독립성 강화를 위해 이사회 내 ESG 위원회를 별도로 구성하고, ESG 전문 이사를 선임했습니다.
5. ESG 경영을 위한 실천 프레임워크
① ESG KPI 수립: 환경·사회·지배구조 각 분야에 정량적 목표 설정
② 데이터 기반 공시 체계 구축: SASB, GRI, TCFD 등의 국제 기준 활용
③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 이해관계자에게 투명하게 비재무성과 공개
④ 교육 및 내재화: 전 직원 대상 ESG 교육과 실천 가이드 배포
⑤ 지속가능 비즈니스 모델 개발: 친환경·사회적 가치 창출 제품 및 서비스 확대
마치며
ESG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니라 ‘표준’입니다. 기업의 평판, 투자 유치, 고객 신뢰, 인재 유입 모두 ESG 경영에 달려 있습니다. 지속가능한 비즈니스는 단순히 오래가는 것이 아니라, 모두를 위한 미래를 함께 설계하는 것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