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09 가네(Gagné)의 9가지 수업 사태 이론 완전 정복 학습의 흐름을 바꾸는 수업 설계의 과학: 왜 가네(Gagné)의 이론이 중요한가? 로버트 가네(Robert Gagné)는 20세기 교육공학의 기반을 만든 핵심 인물 중 한 명입니다. 그는 단지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가 아니라, “학습이 일어나기 위해 어떤 조건들이 필요한가”를 체계적으로 설명하고자 했습니다. 가네(Gagné)는 학습을 단순한 정보 전달이 아니라, 인지적 처리 과정을 단계적으로 자극해야 성취될 수 있는 과정으로 보았습니다. 이를 위해 그는 행동주의와 인지주의를 아우르는 이론적 토대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정보 처리 흐름에 맞춰 수업을 설계할 수 있도록 9단계의 수업 사태(Instructional Events)'를 제안했습니다. 이 9단계는 모든 수업에 일률적으로 적용되어야 하는 공식이 .. 2025. 7. 4. 반두라(Bandura)의 사회학습이론: 관찰학습과 자기효능감의 관계 학습은 ‘타인을 지켜보는 것’만으로도 일어날 수 있는가? 학습이 반드시 직접적인 경험을 통해서만 일어난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심리학자 반두라(Albert Bandura)는 이 통념에 도전했습니다. 그는 타인의 행동을 관찰하고, 그 결과를 내면화하는 과정만으로도 새로운 행동이 학습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제시된 것이 바로 ‘사회학습이론(Social Learning Theory)’입니다. 반두라(Bandura)의 이론은 행동주의 심리학에서 출발했지만, 인간이 ‘사고하고 판단하는 존재’라는 점을 강조하며 인지주의와 행동주의의 중간 지점에 해당하는 학습 이론으로 평가받습니다. 오늘은 그의 핵심 개념인 '관찰학습(observational learning)'과 '자기효능감(self-efficac.. 2025. 6. 22. 블룸(Bloom)의 인지적 영역 분류: 원판과 수정판의 차이 Bloom의 분류 체계는 왜 중요한가? 교육 현장에서 가장 빈번하게 등장하는 질문 중 하나는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와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입니다. 이 두 질문에 대한 답을 체계적으로 안내해주는 이론적 도구가 바로 블룸(Bloom)의 교육목표 분류 체계입니다. Benjamin Bloom을 중심으로 1956년에 발표된 이 체계는 교육 목표를 인지적, 정의적, 심리운동적 영역으로 나누었으며, 특히 인지적 영역 분류는 전 세계 교육과정, 교수설계, 교육 평가의 기본 뼈대로 자리잡았습니다. 이 분류 체계는 단순히 "어려운 문제와 쉬운 문제를 나누는 기준"이 아니라, 학습자의 사고 수준이 어떻게 발전하는지를 설명하는 모델이며, 교육자들이 목표를 설정하고, 수업을 설계하며, 평가 도구를 개발하는 데 중요한 .. 2025. 6. 21. 구성주의 학습 이론의 이해: 피아제와 비고츠키의 비교 구성주의란 무엇인가? 구성주의는 학습자를 수동적으로 정보를 받아들이는 존재가 아닌, 지식을 능동적으로 구성해나가는 존재로 바라보는 학습 이론입니다. 이 관점은 학습이 단순한 정보의 전달이나 암기가 아닌, 학습자 스스로의 사고, 경험,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개인화된 의미를 만들어가는 과정이라는 철학을 바탕으로 합니다. 전통적인 행동주의는 외부 자극과 그에 따른 반응을 통해 학습이 일어난다고 보았고, 인지주의는 학습자의 정보처리 과정을 강조했습니다. 반면, 구성주의는 지식이라는 것은 외부에 고정된 실체가 아니며, 학습자 각자가 자신의 맥락 안에서 형성해가는 유동적인 구조라고 봅니다. 따라서 교수자는 단순한 정보 전달자가 아니라, 학습자가 능동적으로 지식을 구성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고 사고를 자극하.. 2025. 6. 20. 이전 1 2 3 4 ··· 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