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인지적 학습이론(Cognitive Learning Theory)

by 지시익킹 2023. 5. 16.

1.  Four Domains of Learning

벤자민 블룸(Benjamin Bloom)의 1956년 교육목표의 분류(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에서는 인지적, 정의적, 심동적 영역 3가지로 분류했으나 이후 연구자들(Eggen과 Kauchak(2012))은 '인간관계 영역'을 추가했습니다.

 

  • 인지적 영역(cognitive domain) : 지식과 지적 기능에 초점을 맞춘 학습영역
  • 정의적 영역(affective domain) : 태도, 동기부여, 자발적인 참여, 학습의 가치화,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그러한 가치들을 삶에 결합시키는 것을 다루는 영역
  • 심동적 영역(psychomotor domain) : 신체기능적 영역으로서 조작적 기능 운동기능 및 신경근육조정이 요구되는 동작과 같은 작업능력 실행에 초점을 맞춘 영역
  • 인간관계 영역(interpersonal domain) : 소셜 스킬과 다른 사람들과의 효과적인 상호작용을 위한 능력에 초점을 맞춘 영역

 

2. Cognitive Learning Theory

아직 경험해보지 못한 상황에 적절히 대처하는 행동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능동적으로 수집하여 인지함으로써 이루어진다는 학습이론입니다. 인지적 학습이론은 고전적 조건형성이론과 조작적 조건형성 이론의 취약점을 수정하여 전개된 이론입니다. 반드시 자극과 반응 사이의 관계에 의해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는 논리를 강조합니다.

학습은 오히려 개인이 직면하고 있는 환경에 대한 인지와 개인의 성격[기대·목표추구 등의 여부]에 관련되는 과정이라는 것이죠.

 

따라서 이 이론에서 중요시 여기는 것은 자극에 대한 반응보다도 어떤 문제에 대하여 해결할 수 있는 능력과 그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리라고 확신이 가는 인지적 단서, 그리고 목표를 추구하여 그 결과로 어떤 보상을 얻게 되리라는 기대입니다.

 

벤자민 블룸(Benjamin Bloom)의 교육목표의 분류(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는 수업목표 설정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Bloom, Englehart, Hill, Furst 및 Krathwohl(1956)은 인지적 영역(cognitive domain)의 수업목표를 지식수준에서 평가 수준까지 6단계로 제시하였습니다. 단계가 올라갈수록 더욱 높은 수준이며, 더 실제적인 수업목표입니다.

 

  • 1단계 지식(knowledge) : 지식 수준의 수업목표는 학생이 사실, 용어, 문제해결 전략, 규칙 등을 기억하도록 한다. 지식수준을 나타내는 동사로는 ‘정의한다, 기억한다, 나열한다’ 등이 있다.
  • 2단계 이해(comprehension) : 이해 수준의 수업목표는 학생이 읽은 내용을 대화체로 바꿀 수 있거나, 자신의 언어로 바꾸어 말하거나, 관계를 연결 혹은 결론을 끌어낼 수 있도록 한다. 이해 수준을 나타내는 동사로는 ‘설명한다, 번역한다, 비교한다, 구별한다’ 등이 있다.
  • 3단계 적용(application) : 적용 수준의 수업목표는 이전에 배운 것을 다른 곳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현재 학습한 내용을 이용하여 다른 새로운 것을 해결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이해 수준의 수업목표와 다르다. 적용 수준을 나타내는 동사로는 ‘연관시킨다, 계산한다, 조직한다, 변환한다’ 등이 있다.
  • 4단계 분석(analysis) : 분석 수준의 수업목표는 논리적인 오류를 찾아내거나 사실, 의견, 추측, 가설, 결론 간의 차이를 구별해 낼 수 있도록 한다. 분석 수준을 나타내는 동사로는 ‘추론한다, 추출한다, 요점을 말한다’ 등이 있다.
  • 5단계 종합(synthesis) : 종합 수준의 수업목표는 학생이 고유하고 독창적인 어떤 것을 만들어 낼 수 있도록 한다. 학생은 독특한 방법으로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거나 창의적인 해결 방법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종합 수준을 나타내는 동사로는 ‘창조한다, 디자인한다, 예측한다’ 등이 있다.
  • 6단계 평가(evaluation) : 평가 수준의 수업목표는 어떤 방법, 생각, 사람, 물건에 대해 비판이나 판단을 할 수 있도록 한다. 학생은 왜 그러한 판단을 하게 되었는지 말할 수 있어야 한다. 평가 수준을 나타내는 동사로는 ‘지지한다, 비판한다, 정당화한다’ 등이 있다.

 

Cognitive Learning Theory은 교육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러한 영향을 성찰하기 위해 연구자들(Anderson & Krathwohl, 2001)은 1956년 블룸의 위의 오리지널 분류를 수정했습니다.

4가지 타입의 지식과 6가지 인지 프로세스의 24개 셀로 이루어진 매트릭스인데요. 아래표를 참고해 주세요.

 

Cognitive Learning Theory 인지적 영역의 학습목표 분류

 

 

 

단기기억(working memory), 장기기억(long term memory)

단기기억 : working(short-term) memory 주의와 지각의 과정을 거친 정보는 우리의 기억체계의 두 번째 기억 저장소인 작업기억(working memory)으로 전달됩니다. 과거 이 기억 저장소는 단기간만 저장되는

knowledgeking.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