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를 바꾸는 공공데이터와 오픈이노베이션
공공데이터는 더 이상 정부만의 자산이 아닙니다. 교통, 기상, 환경, 산업, 보건 등 다양한 분야의 공공데이터는 민간의 혁신을 견인하고, 사회적 문제 해결과 새로운 비즈니스 창출의 원천이 되고 있습니다. 특히 오픈이노베이션(Open Innovation) 방식으로 민간이 데이터를 가공·활용하며, 정부-기업-시민이 함께 혁신 생태계를 만들어가는 사례가 전 세계적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오늘은 공공데이터 활용의 흐름, 국내외 오픈이노베이션 사례, 그리고 이를 활용한 미래 전략을 다룹니다. 1. 공공데이터와 오픈이노베이션의 정의와 접점공공데이터는 정부·공공기관이 수집한 정보를 민간에 개방한 것으로, 국민 누구나 접근·이용·재활용이 가능합니다. 오픈이노베이션은 기업 외부의 기술, 아이디어, 데이터를 활용하여 제..
2025. 5. 11.
글로벌 정세와 산업 지도의 변화
미중 갈등, 우크라이나 전쟁, 기후 위기, 인플레이션, 에너지 전환 등 글로벌 정세가 복잡하게 얽히며 산업의 지도가 재편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공급망, 기술 패권, 지역 블록화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기업의 전략적 대응을 요구합니다. 오늘은 주요 글로벌 정세의 흐름과 그것이 산업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앞으로 주목해야 할 산업 변화의 방향성을 다룹니다. 1. 주요 글로벌 정세 흐름 요약① 미중 전략 경쟁: 기술 패권, 반도체 공급, 인공지능 및 양자 컴퓨팅 주도권 경쟁 격화② 우크라이나 전쟁: 에너지 수급 불안정, 곡물 가격 상승, 유럽 경제 성장 둔화 초래③ 기후 위기: 탄소중립 전환 가속, 탄소 국경세 및 녹색 기술 투자 확대④ 인플레이션과 고금리: 글로벌 수요 위축, 자본 이동성 감소,..
2025. 5. 10.
초고령 사회의 기술과 인간
세계는 빠르게 고령화되고 있습니다. 한국은 2025년이면 전체 인구의 20% 이상이 65세 이상이 되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합니다. 이러한 변화는 단순히 복지와 의료의 문제가 아니라, 노동, 소비, 도시, 기술 전반의 구조를 재설계하도록 요구합니다. 오늘은 고령화 사회가 가져올 사회적 변화와 함께, 이를 대응하고 선도하기 위한 기술의 역할, 인간 중심 설계의 방향성을 살펴봅니다. 1. 초고령 사회의 도래와 현실통계청에 따르면 2024년 기준 한국의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950만 명(전체 인구의 약 18.4%)에 달하며, 2025년에는 ‘초고령사회(20% 이상)’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고령화는 의료 수요 증가, 노동력 감소, 지역소멸 위기, 세대 간 갈등 등의 구조적 문제를 야기하고 있습니다...
2025. 5. 10.
디지털 정체성과 온라인 커뮤니티의 진화
디지털 공간은 이제 단순한 정보 소비의 장소가 아니라, 자아를 표현하고 관계를 맺는 새로운 정체성의 무대가 되었습니다. 아바타, 닉네임, 커뮤니티 참여, 밈(meme) 공유는 우리의 사고와 행동, 심지어 정체성 자체를 재구성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디지털 정체성 개념의 변화, 온라인 커뮤니티의 진화 흐름, 사회·문화적 영향, 그리고 조직과 브랜드가 이 변화에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 살펴봅니다. 1. 디지털 정체성이란 무엇인가?디지털 정체성은 개인이 온라인 공간에서 선택하고 구축하는 자아의 표현입니다. 실명과 분리된 닉네임, 아바타, 프로필 이미지, 콘텐츠 소비 및 생산 패턴 등이 결합되어 고유한 온라인 ‘페르소나’를 형성합니다. MIT 미디어랩의 샤리 터클(Sherry Turkle)은 이를 ‘다중 정체성..
2025. 5. 9.
AI 시대의 윤리와 책임
AI 기술은 이제 검색, 추천, 생성, 판단 등 인간의 사고와 행동을 모방하고 대체하는 수준에 도달했습니다. 그러나 편향된 알고리즘, 저작권 침해, 개인정보 오남용, 인공지능의 책임소재 문제는 해결되지 않은 윤리적 이슈로 남아 있습니다. 오늘은 생성형 AI 시대를 중심으로, 인공지능 기술이 불러올 윤리적 쟁점과 그에 따른 사회적·법적 책임 구조를 살펴보고, 조직과 개인이 준비해야 할 AI 윤리 전략을 정리합니다. 1. 왜 지금 AI 윤리가 중요한가?2023년 3월, 일론 머스크와 스티브 워즈니악 등 글로벌 IT 리더 1,000여 명은 'GPT-4 이상의 고도 AI 개발을 6개월간 중단하자'는 공개 서한에 서명했습니다. 그 이유는 단 하나, 인공지능의 윤리와 책임이 기술의 진화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
2025. 5.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