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비고츠키의 근접발달영역(ZPD)

by 지시익킹 2023. 5. 17.

구성주의 교육철학에서 거론되는 두 명의 학자는 피아제비고츠키입니다. 피아제의 이론은 인지적 구성주의, 비고츠키의 이론은 사회적 구성주의로 대표되고 있습니다. 오늘은 비고츠키가 제시한 인지발달 이론인 근접발달영역(ZPD : zone of proximal development)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근접발달영역

 

 

근접발달영역(ZPD :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근접발달영역은 심리학의 대표적 발달이론을 구축한 심리학자인 레프 비고츠키(Lev Semenovich Vygotsky)가 제시한 아동의 인지발달 이론입니다. 아동이 스스로 도달할 수 있는 능력과 주변의 도움을 받아 도달할 수 있는 능력을 구분하여 아동이 새로운 인지발달을 이룩하기 위해서는 두 능력의 사이에 있는 근접발달영역 안에서 정교한 교수활동이 일어나야 한다는 것입니다.

 

즉, 근접발달영역은 실제적 발달 수준과 잠재적 발달 수준 사이의 간격을 말합니다. 실제적 발달 수준은 독립적 문제 해결에 의해 결정되고, 잠재적 발달 수준은 성인의 안내 혹은 더 능력 있는 또래 들과의 협동을 통한 문제 해결에 의해 결정됩니다.

 

이 이론은 정신의 발달을 과거의 성과가 아닌, 미래지향적인 잠재적 능력으로 본다는 점에서 기존에 서구 학계에서 지배적이었던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과 대비됩니다.

 

  • 실제적 발달 수준 : 아동이 과제를 혼자서 해결할 수 있는 수준
  • 잠재적 발달 수준 : 성인, 혹은 유능한 타인의 도움을 받아 해결할 수 있는 수준

 

결국 아동은 실제적 발달 수준에서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이 간격을 줄여야 한다는 것이죠.

그 방법으로 근접발달영역 안에서 교수-학습 작용이 일어나게 되면 학습자의 실제적 발달 수준이 늘어나고, 이것이 반복되면 아동이 성인과 같은 수준으로 발달 사회적 상호작용에 대한 중요성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비계설정(scaffolding)

 

1. 비계설정의 정의

비계 설정은 학습자의 근접발달영역 내에서의 효과적인 교수-학습을 위해 보다 유능한 교사, 부모, 또래가 학습자와의 상호작용 중 도움을 적절히 조절하며 제공하는 것을 말하는데, 한 마디로 '발판'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2. 비계설정의 목표

(1) 아동을 근접 발달 영역에 머무르게 하기

학습자가 도전감을 갖도록 적절한 난이도의 과제를 제시하고 주변 환경을 조절 학습자의 상황과 능력에 맞도록 도움의 양을 계속 조절해주어야 합니다.

(2) 자기조절 증진시키기

학습자로 하여금 가능한 한 많은 활동을 조정하게 함으로써 교사에게 의지하지 않고 최대한 빨리 독립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3. 효과적인 비계설정의 구성요소

(1) 공동의 문제 해결

학습자가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문제의 해결을 말합니다.

(2) 상호 주관성

처음 과제를 시작할 때는 다른 관점을 갖고 있던 참여자들이 상대방의 관점에 각자의 관점을 조정해 하나의 공유된 이해에 도달하게 됩니다.

(3) 따뜻함과 반응

상호작용 과정에서의 분위기, 조력자가 따뜻하고 활발한 반응을 보이는 정서적인 지원을 말합니다.

 

 

레프 비고츠키(Lev Semenovich Vygotsky)

 

비고츠키는 벨라루스 보르샤(Belarus Borsa)의 유복한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나 차별을 받으며 성장했지만, 부모님이 유대인으로서 풍부한 문화, 지적인 가정환경을 조성해 주었습니다.

 

모스크바 대학교에 입학해 법학을 전공하다가, 재학 중 러시아 혁명을 경험한 그는 대학 시절에 철학, 사회과학, 심리학, 언어학, 문학, 미술 등 광대한 영역의 지식을 익혔습니다. 이는 훗날 그의 심리학 연구에 기초가 되었습니다.

 

1918년 대학을 졸업한 뒤 고멜(Gomer)로 돌아가 교직에 종사하면서 학문을 계속한 비고츠키는 1925년에 예술의 심리학(The psychology of art)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1924년부터 1934년까지는 모스크바 실험심리연구소에서 본격적으로 연구활동을 해 나갔습니다.

 

그는 10년 정도의 짧은 연구활동 기간에 발달심리학 분야를 시작으로 폭넓은 분야에서 수많은 실험적·이론적 연구를 하다가 37세의 젊은 나이에 결핵으로 사망하였습니다.

 

 

 

 

켈러의 ARCS 이론

교수학습 현장에서 교사들이 사용하는 효과적인 동기유발 방법 중의 하나인 켈러(John M. Keller)의 ARCS 이론은 교수의 세 가지 결과 변인인 효과성, 효율성, 매력성 중에서 특히 매력성과 관련하여

knowledgeking.tistory.com

 

ASSURE 모형

매체를 활용하기 위한 ASSURE 모형은 훈련 현장이나 일선 교사가 수업을 계획하고 수행하면서 활용할 수 있도록 수업 상황을 전제로 개발되었습니다. 일반적인 교수설계 모형은 교수분석과정에

knowledgeking.tistory.com

 

인지적 학습이론(Cognitive Learning Theory)

1. Four Domains of Learning 벤자민 블룸(Benjamin Bloom)의 1956년 교육목표의 분류(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에서는 인지적, 정의적, 심동적 영역 3가지로 분류했으나 이후 연구자들(Eggen과 Kauchak(2012))은 '

knowledgeking.tistory.com

 

댓글